[스크랩] 질경이 효능
질경이 효능
어린잎은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잎을 차전(車前),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는 약재로 쓰는데,
차전자는 이뇨 작용이 있고, 설사를 멈추게 하며, 간 기능을 활성화하여 어지럼증·두통에
효과가 있고, 폐열로 인한 해수에도 효과가 있다. 차전초는 이뇨 작용이 있어 신우신염·방광염·
요로염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사할린·타이완·중국·시베리아 동부·히말라야· 자바·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가 들이나 길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풀 중의 하나가 바로 질경이다. 봄에 연한 잎을
따서 나물로도 먹곤 하는데 한방에서는 질경이를 차전초(車前草), 그 씨를 차전자(車前子)라고
하여 귀중한 약재 중 하나로 쓰인다.
질경이의 설화중 한나라에 마무(馬武)라는 장수가 있었는데 오랫동안 가뭄이 들고 전쟁에서
패배하여 돌아오는 길에 사병들은 굶주리고 물도 없어 매우 난처한 지경에 이르렀고 병사와
말이 피오줌을 누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그중 두 세 마리의 말은 문득 피오줌을 누지 않아서
이상해서 말주변을 살펴보다가 풀을 발견하고 모든 장병에게 이 풀을 끓여 먹게 하였는데
모든 군사의 병이 낫게 되었다는 설화가 있다. 말 그대로 수레 車에 앞 前을 써서 車前子라는
약 이름을 쓴다.
[동의보감]에 차전자는 성분이 차고 맛이 달고 짜며 독이 없고 기륭(氣?,기의 장애로 오줌이
나오지 않는 것)을 주로 치료하고 오림(五淋)을 통하게 하며 수도(水道)를 이롭게 하고
소변의 임삽(淋澁)을 통하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간(肝)속의 풍열(風熱)과 독풍(毒風)이
위로 치밀어서 눈이 붉어지고 아프며 장예(障?)한 것을 치료한다.
효능
차전자는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습을 밖으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설사를 치료하고
눈을 맑게 하며 담으로 인한 기침을 치료하는 효능을 지닌 약재이다. 주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이나 간에 열이 성하여 눈이 침침하고 아픈 것, 폐에도 열이 있어서 가래가 생기고
기침 등의 증상에 주로 응용되며, 간과 폐의 열을 소변과 같이 밖으로 배출하여 각 장부에
열을 내리는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이밖에도 혈압강하작용 역시 있다고 알려져 있다.
길가에 너무 흔하게 있기에 이게 약이 될까? 하지만 흔하면서도 한방에서의 쓰임은 매우
긴요하다. 그 어떤 풀잎하나도 약이 되지 않는 것은 없는 듯 하다.
약성 및 활용법
민간요법에서는 만병통치약으로 부를 만큼 질경이는 그 활용범위가 넓고 약효도 뛰어나다.
기침, 안질, 임질, 심장병, 태독, 난산, 출혈, 요혈, 금창, 종독 등에 다양하게 치료약으로 써
왔다.
이뇨작용과 완화작용, 진해작용, 해독작용이 뛰어나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데, 변비, 천식,
백일해 등에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각기, 관절통, 눈충혈, 위장병, 부인병, 산후복통, 신경쇠약,
두통, 뇌질환, 축농증 같은 질병들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
옛 글에는 질경이를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언덕을 뛰어 넘을 수 있을 만큼 힘이 생기며
무병장수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기침,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동맥경화, 당뇨병, 백일기침, 신장염, 신장결석, 이질,
장염, 특히 각종 암세포의 진행을 80% 억제한다는 연구보고도 나와 있다.
이외에도 질경이를 일상 생활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무기질과 단백질, 비타민, 당분 등이 많이 들어 있어 나물로 즐겨 먹고, 삶아서 말려 두었다가
묵나물로도 먹었다.
소금물에 살짝 데쳐 나물로 무치고, 기름에 볶거나, 국을 끓여도 맛이 좋음
튀김으로도 먹을 수 있고 잎을 날로 쌈을 싸 먹을 수도 있으며, 질경이로 김치를 담그면 그 맛이
각별하다.
구황식품의 하나로 씨앗으로 기름을 짜서 모밀국수를 반죽할 때 넣으면 국수가 잘 끊어지지
않는다. 질경이 잎과 줄기, 씨앗 등 어느 것이나 차로 마실 수 있다.
질경이잎에는 플라보노이드, 타닌과 더불어 플란타긴이라는 배당체가 들어 있다.
플라타긴은 호흡 중추 싱경에 작용해서 호흡기의 운동을 깊게 하거나 느리게 하는 작용이 있어
기침을 멋게 하며, 체내 분비 신경을 자극, 흥분시켜 기관이나 기관지의 점액, 소화액 분비를
촉진시켜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분비 신경이란 이른바 미주 신경인데, 이 신경 말단에 폴란타긴이 작용해서 자극을 주어 창자의
근육이나 자궁 근육 등의 운동을 촉진 시킨다. /자료 옮겨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