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 상식

[스크랩] 바위손의 효능

초심방 2015. 7. 14. 15:07

증상에 따른 용도별 약초보기는 여기 클릭하세요

주의 : 약초식물은 유사한 종류가 매우 많고, 사용량, 혼합비율, 개인적 체질에 따르는 효과 등 이 다르므로 사용시에는 반드시 인가된 전문가 상담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바위손의 효능] : 자료를 옮긴글입니다

 

기원: 바위손의 전초
과명: 부처손과(Sellaginellae)
이명: 석권백(石卷柏), 선권백(扇卷柏)
식물명: 바위손
학명: Sellaginella involvens (Sw) Spring
중명: 연주권백(yan zhou juan bai: 앤 조우 주앤 빠이)
일명: カタ
ヒバ(카타히바)

높이가 14~45cm의 상녹초로서 줄기는 직립하고 원추형이며 3~4회 우상(羽狀)으로 분지하나 밑에 6~15cm길이의 엽병상(葉柄狀)의 줄기 부분은 가지가 없고 맥고색(麥藁色)을 띠며 와복상(瓦覆狀)으로 드문드문 달린 인엽이 있다.  

가지에 달인 잎은 밀집하며 이형으로서 4줄로 배열된다.  측엽은 급첨(急尖) 즉 급겹하게 뾰족하며 대칭되지 않았고 길이 2mm, 폭 1.2mm정도이며 전연(全緣)으로서 연모(緣毛)가 있다.  중엽은 난원형(卵圓形)으로서 거치(鋸齒)가 있다.  

포자낭수(胞子囊穗)는 소지(小枝) 끝에 단생(單生)하며 네모가 지고 길이 5~25mm, 지름 1mm정도이다.  포자엽(胞子葉)은 난원형(卵圓形)이며 점첨(漸尖) 즉 완만하게 뾰족하며 용골상(龍骨狀)이다.  대포자낭에 4개의 황색포자가 들어있고 소포자낭(小胞子囊)에는 다수(多數)의 등황색 소포자(小胞子)가 들어 있다.

생육지: 숲의 바위
분포: 제주도나 남부 도서지역 등에 분포한다.
채집: 봄가을에 전초를 채집하여 음건 즉 그늘에서 말린다.
번식: 봄가을에 분주번식을 실시한다.

성분:
Trehalose
성미: 맛은 신맛이고 성질은 평이하다.

작용:
폐(肺), 간(肝), 심장(心), 비장(脾)에 작용한다.
약효: 혈을 맑게하고(양혈:凉血), 피를 멈추게하고(지혈:止血), 가래를 삭이며(화담:化痰), 천식을 진정시키고(정천:定喘), 소변이 잘 나오게 하며(이수:利水), 종기를 치료한다(소종:消腫).

적응증:
과로(過勞), 토혈(吐血), 비출혈(鼻出血), 탈항하혈(脫肛下血), 담수(痰嗽), 천식(喘息), 황담(黃痰), 수종(水腫), 임병(淋病), 대하(帶下), 화상(火傷)

주의: 몸이 건조한 사람과 임산부는 사용에 주의한다.



용법과 용량: 5~25g을 끓여서 내복하고 외용은 찧어서 도포(塗布) 또는 분말을 조제 도포(調製塗布)한다.

항암임상응용: 간암(肝癌), 폐암(肺癌), 융모막상피암(絨毛膜上皮癌), 후두암(咽喉癌), 비인암(鼻因癌)에는 권백 50~100g, 돼지 살코기(비게를 제거) 100g, 물 2ℓ를 국물이 500g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권백을 고아서 하루분으로 하고 2번으로 나누어 고기와 국물을 먹는다.
참고문헌:
1, 강소신의학원중약대사전(江蘇新醫學院中藥大辭典), 1986. 1446.]



부처손 전초를 태운 재는 뇌막염에도 좋다.  부처손 우림약을 오래 먹으면 장수한다고 한다.  위통에는 주먹풀 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부처손 채취
시기는 연중 어느 때든지 가능하다.  뿌리까지 뽑지 말고 뿌리 위쪽 줄기 지상부를 잘라서 깨끗이 물로 씻어 말려서 사용한다.    

[성분]

flavone, phenols, amino acids, trehalose 등의 다당류, 소량의 탄닌을 함유하고 있다.  flavone계 성분에는 apigenni, amentoflavone, hinokiflavone, isocryptomerin이 있다.

부처손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화상

신선한 부처손을 짓찧어 바른다. [영남약물지]

2, 자궁출혈, 백대하

부처손 18.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영남약물지]

3, 장독하혈(腸毒下血)

부처손, 연한 황기 각 같은 양을 가루내어 1회 11g을 미음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

4, 대장하혈(大腸下血)

부처손, 측백, 종려 각 같은 양을 약성이 남게 태운 다음 갈아서 가루로 만들어 1회 11g을 술로 복용한다.  밥알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복용할 수 있다. [인존당경험방]

5, 토혈, 변혈, 요혈

① 부처손을 누렇게 볶은 것 37.5g, 수저육(瘦猪肉) 75g을 약한 불에 푹 삶아 끓인 물을 복용하고 고기를 먹는다.

② 부처손을 누렇게 볶은 것 37.5g, 짚신나물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초약]

6, 간질

부처손 75g, 담죽엽권심(淡竹葉卷心) 37.5g, 빙당(氷糖) 75g을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초약]

7, 천식

부처손, 마편초(馬鞭草) 각 18.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되 빙당(氷糖)을 인경약(引經藥)으로 한다. [강서초약]

8, 위통

부처손 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초약]

9, 복통 천루(喘累) 및 토혈

부처손, 소혈등(小血藤), 백화초(白花草), 지호초(地胡草)를 1주일간 술에 담갔다가 한낮에 빈속에 복용한다. [사천중약지] 

10, 타박상으로 국부가 아플때

신선한 부처손을 1회에 37.5g(말린 것은 18.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1회 복용한다. [천주본초]

11, 여성의 무월경으로 하(
瘕)가 생기고 한열(寒熱)이 왕래하며 임신을 할 수 없을 때
부처손 148g, 당귀 75g(모두 술에 담갔다가 볶은 것), 백출(白朮), 목단피(牡丹皮) 각 75g, 백작약(白芍藥) 37.5g, 천궁(川芎) 18.5g을 7제(劑)로 나누어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혹은 정제한 꿀에 반죽하여 환을 만들어 매일 아침 14.8g을 백비탕(
湯: 아무것도 넣지 않고 맹탕으로 끓인물 )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

바위손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해혈(咳血), 붕루(崩漏)

바위손 26~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천주본초]

2, 과로, 해수, 토혈

바위손 56g과 청피압단(靑皮鴨蛋)를 함께 잘 끓여서 찌꺼기를 버리고 즙과 오리알을 복용한다. [천주본초]

3, 효천(哮喘)

바위손 37.5~75g에 뜨거운 물을 부어 넣고 빙당(氷糖)과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4, 담수(담수) 천식

바위손 56g, 마편초(馬鞭草) 19g, 빙당(氷糖)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5, 황달

신선한 바위손 75~150g, 혹은 말린 것 37.5g, 황주(黃酒) 2찻숟가락을 끓인 물 적당량으로 1시간 고아서 1일 2회 따뜻하게 해서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

6, 여성의 황대하, 백대하

바위손 56g, 돼지 정육 75g을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7, 양간풍(羊癎風)

바위손 75g, 빙당(氷糖) 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8, 나력(
瘰癧: 결핵성경부림프선염

)
① 바위손 37.5g을 술에 2회 달여 매 식후에 1회씩 복용한다. [강서민간초약]

② 바위손 37.5g, 야남과근(野南瓜根) 150g, 돼지 정육 150g을 물로 달여서 매일 1회씩 복용한다.  임신부는 복용하면 안 된다. [강서민간초약]

9, 칼에 베인 상처 출혈

신선한 바위손을 짓찧어서 상처에 바른다. [강서민간초약]

10, 화상

바위손을 가루내어 다유(茶油)에 타서 바른다. [호남약물지]

11, 미친개에 물린 증상

바위손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주먹풀(부처손 및 바위손)의 효능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효능: 가나다순: 간경화, 간질, 강장, 급성편도염, 기관지염, 기미, 기침, 냉병, 노인의 몸이 다른한데, 뇌막염, 담낭염, 만성간염, 백대하, 복통, 불임증, 생리통, 신경성 두통으로 인한 어지럼증, 신장결석, 요혈, 욕창, 월경불순, 위통, 음부가려움증, 자궁출혈, 장출혈, 접골, 정신분열증, 지혈, 진정, 천식, 출혈, 치질, 코피, 탈항, 타박상, 토혈과 각혈, 폐렴, 폐보호, 피오줌, 항암(간암, 뇌암, 모든암, 무월경, 비안암, 식도암, 신장암, 위암, 유선암, 융모상피암, 인후암, 자궁경부암, 직장암, 코암, 편도선염, 폐암, 피부암), 항염작용, 행혈, 혈변, 화상, 황달 등......)  
(글/ 약초연구가 전동명)

 

자료 출처 : 산사람 미추홀에서 일부발취

자료 더보기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출처 : 평창 삼형제길 분지골로~! 벌교 땅골로~!
글쓴이 : 타닐촐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