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한라산 국립공원 http://www.hallasan.go.kr/
우리나라 3대 영산(靈山)중의 하나인 한라산은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1,950m로 남한에서 가장 높다. 또 다양한 식생 분포를 이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고 동·식물의 보고(寶庫)로서, 1966년 10월 12일 천연기념물 제182호인 한라산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신생대 제4기의 젊은 화산섬인 한라산은 지금으로부터 2만5천년 전까지 화산분화 활동을 하였으며, 한라산 주변에는 360여 개의 ‘오름’들이 분포되어 있어 특이한 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또한 섬 중앙에 우뚝 솟은 한라산의 웅장한 자태는 자애로우면서도 강인한 기상을 가슴에 품고 있는 듯하다. 철 따라 어김없이 바뀌는 형형색색(形形色色)의 자연경관은 찾는 이로 하여금 절로 탄성을 자아내게 하는 명산으로, 1970년 3월 24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2년 12월에는 ‘UNESCO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특히 태고의 신비를 그대로 간직한 한라산과 아름다운 땅 제주는 신이 우리에게 선물한 최고의 보물이자 세계인이 함께 가꾸어야 할 소중한 유산으로 인정받아 2007년 6월 27일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우리나라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고, 2010년 10월 4일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공원구역 | 총면적 153.332㎢ |
제주시 | 91.609㎢ |
---|---|---|---|
서귀포시 | 61.723㎢ | ||
용도지구별 | 공원자연보존지구 | 89.060㎢ | |
공원자연환경지구 | 64.272㎢ | ||
천연보호구역 : 91.654㎢, 천연기념물 제 182호(1966.10.12) | |||
공원이용시설 | 관리사무소 | 4동 / 4개소 | |
탐방안내소 | 1동/ 1개지구 | ||
대피소 | 6동/ 5개지구 | ||
화장실 | 53동 / 5개지구 | ||
주차장 | 6개소 | ||
탐방로 | 9개탐방로 | ||
야영장 | 1개소 | ||
백록담 | 위치 | 동경 126°32′ 31″, 북위 33°21′ 31″ | |
소재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 토평동 산 15번지 | ||
분화구면적 | 210,230㎡ | ||
담수면적 | 11,460㎡ |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국립공원관리사무소
우) 690-20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070-61(해안동 산 220-1)
- 한라산국립공원(어리목)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070-61, TEL(064)713-9950~2 / FAX(064)710-7819
- 탐방안내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070-61, TEL(064)713-9953 / FAX(064)710-7859
- 성판악사무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516로 1865, TEL(064)725-9950 / FAX(064)710-7889
- 영실사무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영실로 248, TEL(064)747-9950 / FAX(064)710-7879
- 관음사지구안내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산록북로 588, TEL(064)756-9950 / FAX(064)710-7869
- 돈내코지구안내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상효동 산 1-1번지, TEL(064)710-6920 / FAX(064)710-
♣. 산행지 : 한라산 (1,950m)
♣. 산행일 : 2011. 4. 24. (일)
♣. 산행코스 : 성판악매표소 - 속밭 - 사라무인대피소 -진달래대피소- 백록담(정상) -
용진각대피소 - 탐라계곡대피소 - 관음사안내소
♣. 산행시간 : 약 7시간 50분
♣. 인 원 : 6명
진달래대피소의 전경 (내부엔 궂은날씨 때문에 수많은 산객들로 발디딜틈이 없었다.)
정상아래에 있는 나무계단을 오르던중 잠시 발길을 멈추었다
오늘 산행을 함께한 일행모두가 한장의 사진에 추억을 담았다.
아내와 둘이서 한장더 찍어보고...
얼마나 오르고 싶어하던 곳인가?....그러나 눈보라와 짙은안개로 끝내 백록담은 볼수없었음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