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사예절 ***
1) 祭祀의 種類
가) 연시제(年始際) 年始祭는 正月 초 하룻날 아침에 歲拜로 드리는 茶禮이다.「年始祭는
매년 1월 1일 아침에 지내며 그 대상 장소 참사자의 범위는 忌祭에 준한다」고 가정의례 준칙에서 규정하고 있다. 奉祀의 대상은 祭主로부터
2대조까지로 되어 있다. 그러나 曾祖母, 高祖母의 차례로지내 오는 우리의 관습은 좋은 일임에 틀림없다. 차례 드리는 방법도 봉사 대상이
되는 여러분을 함께 모시고 제사를 올리지만 祭需의 陳設에서 祖父母 內外分 父母 內外分과 配偶者로 祭床을 각각 구분하여 마련해도
무방하다. 紙榜은 合祀하는 경우에는 나란히 쓴다. 正初에는 우리 고유의 풍속으로 떡국을 끓여 먹으므로 메 대신 떡국으로
올린다. 獻酌(술을 올리는 것)은 한 번으로 하고 祝文은 일지 않는다.
나) 한식 성묘(寒食 省墓) 寒食은 淸明의 다음 날로 옛날
중국에서 冬至 뒤 150일 째 되는 이 날은, 비 바람이 심하다고 해서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었다는 풍속에서 비롯한 말이라고 한다.
원래 省墓는 春夏秋冬에 한 번씩 하는 것으로 날짜가 정해져 있었다. 즉 봄 寒食, 여름 端午, 가을 秋夕에 겨울은 음력 10월 1일로
되어 있었는데, 요즈음 같이 바쁜 세상에서는 한식날을 전후한 植木日에 省墓하는 것도 合理的이라 할 것이다. 또 移葬을 하는 경우도 淸明
寒食이 좋은 날이다.
다) 秋夕 節祀 옛날에는 寒食, 端午, 秋夕, 시월삭(十月朔)에
墓祭를 지냈고, 요즈음에는 보통 省墓를 하고 있다. 추석은 우리 나라에서는 정월 초하루 명절과 더불어 가장 크게 치는 민족적인 명절로서
한가위, 가윗날, 중추절, 가배일(嘉俳日)이라고도 하며 음력 8월 보름이면 더위는 물러가고 백곡이 무르익어 일년 중 어느 때보다도 풍요한 때이며
연중 달도 제일 밝은 때이다. 茶禮를 지내는 奉祀 對象 祭需와 節次는 忌祭와 같다.
2) 祭祀에 임하는 態度
ㅇ 직계 자손들이 빠짐없이 참여하여 마음과 몸과 衣服을 깨끗이 한다. ㅇ 제사 순서는 가문의 풍습대로 하되
簡素하게 정성을 다한다. ㅇ 忌祭는 보통 12시경에 지내나 참석하신 분이 집에 갈 수 있도록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ㅇ 음식은 모인
사람이 먹으면 알맞도록 준비하고 浪費하지 않는다.
3)家庭儀禮 準則에 의한 祭床 차리기
① 현대식 ② 재래식 ③ 주자 가례 제사상
4) 家庭儀禮準則 以外 祭祀.茶禮床 차리기 例
1. 忌祭祀 및 茶禮床을 차리는(진설하는) 법에는 크게 紅東白西 陳設法과 棗栗梨枾, 生東熟西,頭東尾西, 乾左濕右,
東盞西, 右 飯左羹, 南左女右 陳設法이 있다. 2. 紅東白西 陳設法이란
붉은색 과일을 동쪽(일반적으로 상의 우측)에, 흰색 과일을 서쪽(상의 좌측)에 陳設하는 방법을 말한다. 3. 棗栗梨枾 陳設法이란 상의
왼쪽부터 조(대추), 율(밤), 이(배), 시(감)의 순서로 陳設하는 방법을 말한다. 4. 이 두 가지 방법은 공히 左脯右醯, 魚東肉西의
陳設法을 같이 병행하여 쓴다. 1) 左脯右醯란 문어, 명태, 오징어 등의 건어물을 左側에,
식혜는 右側에 진설하고 가운데에 沈菜(김치, 물김치 등), 熟菜(익힌 나물), 淸醬(간장)을 陳設하는 방법이다. 건어물의 머리는
右側으로 가게 한다. 2) 魚東肉西란 물고기 탕은 右側에, 육류탕은 左側에 진설하고 그 가운데 채소, 두부
등으로 만든 소탕을 진설하는 방법이다. 3) 탕을 쓸 때는 1, 3, 5 로 탕의 숫자를 홀수로 해야
한다. 5. 적과 전의 진설 적이라 함은 불에 굽거나 찐 것을 말하며, 전이라 함은 기름에 튀긴 것을
말한다. 1) 魚東肉西: 어류를 右側에 육류를 左側에, 가운데 두부, 채류를
진설한다. 2) 頭東尾西: 어류의 머리는 右側으로 가게, 꼬리는 左側으로 가게 한다. 6. 반과
갱 반(메)는 左側에 갱(국)은 右側에, 면(국수)은 左側에 편(떡)은 右側에
陳設한다. 추석에는 뫼를 대신하여 떡을 쓸 수 있고, 설에는 떡국을 쓸 수 있다. 7.
집안에 따라 뫼, 갱과 같은 줄에 면, 잔, 편, 청을 陳設하는 경우도 있다. 이럴 경우는 진설 줄이
5열이 된다. 8. 이상의 陳設法은 각 가문마다 조금씩 다름을 유의할 것.
5)제사 지내는 순서 가)오늘날 간소화된 제사 ① 혼령
모시기 제주는 향불을 피우며 모사에 술을 붓고 제사에 참석한 사람은 순서대로 서서 일제히 신위 앞도 번
절한다. ② 잔 올리기 잔에 술을 붓고 밥 뚜껑을 열며 함께 두 번 절한다. ③ 축문
읽기 제사 지내는 사람은 모두 꿇어앉아 있고, 축문을 읽는다. 다
읽은 후 함께 두 번 절한다. ④ 물림 절 국그릇을 낸 후 숭늉을 올려놓고 술잔에 술을 더 부은 다음
함께 두 번 절한다.
나) 재래식 제사 순서(전통적인 제사 순서) ① 降神 강신이란 신위께서 강림하시어 음식을 드시라는
청을 하는 뜻이다. 강신은 제주 이하 참사자 전부가 차례로 선 뒤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하고 우 집사가 술을 진에 차지
않게 조금 부어 제주에게 주면 제주는 받아서 모사 위에 세 번에 나누어 붓고 빈 잔은 우 집사에게 다시 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② 參神 참신은 강신을 마친 뒤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가 두 번 절한다. 신주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인 경우는 강신을 먼저 한다.
③ 初獻 처음 잔을 올리고 재배하는 것으로 제주가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앉아 분향한 뒤 좌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면 우 집사가 잔에 술을 가득 붓고 제주는 강신할 때와 같이 오른 손으로 잔을 들어 모사에 조금씩 세 번 기울여 부은 뒤에
양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주면 집사 그것을 받아서 올린다. 합사일 경우에는 먼저 그 위에 올리고 두 번째 잔을 받아서 그대로
비위에 올리고 저를 고른 후 재배한다.
④ 讀祝 독축은 축문을 읽는 것으로 축문은 초헌이 끝난 다음 제주 이하 모든 상제가 꿇어앉고 제주
옆(左)에 축관(축을 읽는 사람 )이 앉아서 엄숙한 목청으로 천천히 크게 읽는다. 읽고 나면 묵념을 하고 조금 있다가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⑤ 亞獻 두 번째 잔을 올리는 것으로 주부가 하는 것이 예의이다.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초헌과
같이 한다. 다만 축문은 읽지 않는다.
⑥ 終獻 마지막 올리는 잔으로 아헌자의 다음가는 근친자가 아헌과 같이 하며 잔을 받아서 모사에 세 번
기울였다가 올린다.
⑦ 添酌 첨작을 유식(侑食)이라고도 하는데 초헌자(제주)가 다시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우집사가
다른 술잔에 조금 부어 초헌자에게 주면 이것을 받아 종헌자가 드릴 때 채우지 않은 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채우고 두 번 절한다.
⑧ 啓飯揷匙(揷匙正箸) 메 그릇의 뚜껑을 열어 놓고 수저를 꽂는 것으로 수저 바닥이 동쪽으로 향하게
꽂는다.
⑨ 闔門(합문) 참사자 일동이 방에서 나와 문을 닫는 것인데 대청일 경우에는 뜰 아래로 내려와 조용히
3∼4분간 기다린다.
⑩ 獻茶 숭늉과 국과 바꾸어 올리고 메를 조금씩 세 번 떠서 말아 놓고 수저를 고르고 참사자 일동이
2∼3분간 읍(손을 맞잡고 묵념하듯이)하고 있다가 큰 기침을 하고 고개를 든다.
⑪ 撤匙覆磐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그릇에 뚜껑을 덮는다.
⑫ 辭神 참사자 일동이 두 번 절하고 신주는 사당으로 모시고 지방과 축은 불살라 숭늉 그릇에 재를
넣는다.
⑬ 撤床 모든 제수를 뒤에서부터 물린다.
⑭ 飮福 조상께서 물려주시는 복된 음식이라는 뜻으로 참사자와 가족이 모여서 식사를 한다.
6) 家庭儀禮 準則 가운데서 祭禮部分 拔萃
제17조【제례의 구분】 제례는 기제(忌際), 절사(節祀), 연시제(年始際)로
구분한다. 제18조【기 제】 ① 기제의 대상은 제주로부터 2대조까지로
한다. ② 기제는 매년 사망한 날 해진 뒤에 제주의 가정에서
지낸다. ③ 기제의 참가자의 범위는 사망자의 직계 자손으로 한다. 제19【절 사】
① 절사의 대상은 직계 조상으로 한다. ② 절사는 매년 추석절
아침에 종손의 가정에서 지낸다. ③ 절사의 참사자의 범위는 직계 자손으로
한다. 제20조【연시제】 연시제는 매년 1월 1일 아침에 지내되 그 대상, 장소, 참사자의 범위는
기제에 준한다. 제21조【제수】 ① 제수는 평상시의 간소한 반상음식으로 자연스럽게
차린다. ② 절사의 경우에는 떡으로, 연시제의 경우에는 떡국으로 밥을 대신할 수
있다. 제22조【제례의 절차 등】 제례에 있어서의 절차 등의 요령은 별지 4에 의한다 제23【성
묘】 성묘는 각자의 편의대로 하되 그 배례 방법은 재배 또는 묵념으로 하며 제수는 마련하지
아니한다.
7) 紙榜 쓰는 법(家長을 基準)
1. 5代 祖父母 顯 五代祖考 學生 府君
神位 顯 五代祖女比 孺人 慶州李氏 神位
2. 高祖父母 顯 高祖考 學生 府君
神位 顯 高祖女比 孺人 密城朴氏 神位
3. 曾祖父母(벼슬을 하셨을 경우: 나라에서 내린 諡號나 職銜을 적음) 顯 曾祖考
( 通政大夫行 司憲府監察 府君 ) 神位 顯 曾祖女比 淑夫人
金海許氏
神位
4. 祖父母 顯 祖考 學生 府君
神位 顯 祖女比 孺人 仁同張氏 神位
5.
父母 顯 考 學生 府君
神位 顯 女比 孺人 橫城趙氏 神位 * 지방을 모실 때, 주의할 점은
'顯'과 '神位'의 위치가 두 분이 같은 위치에 오도록 나란히 쓸 것.
8) 祝文 쓰는 법
(제사일을 하루로 하여 두 분의 위를 함께 모실
때) * 年干이란, 甲子 乙丑 등의 干支. *
日干이란, 日曆(매일 떼어내는 달력)에 기록된 그 날의 干支. 초하루
日干은 그 달 음력 초하루의 干支임. 1. 高祖父母 維歲次 (年干)一月(초하루 日干)朔 三日
(日干) 孝玄孫 (祭主의 이름) 敢昭告于
예를
들어 基萬 顯高祖考學生府君 顯高祖女比孺人密城朴氏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2. 曾祖父母 維歲次 (년간)一月(초하루 일간)朔 三日 (일간) 孝曾孫
基萬
敢昭告于 顯曾祖考通政大夫行司憲府監察府君 顯曾祖女比淑夫人金海許氏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3. 祖父母 維歲次 (년간)一月(초하루 일간)朔 三日 (일간) 孝孫 基萬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顯祖女比孺人仁同張氏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4. 父(돌아가신 날<기일>에 맞춰 제사를 지내는 경우):두분의 위를 같이
모심. 維歲次 (년간)十二月(초하루 일간)朔 二十一日 (일간) 孝子 基萬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顯女比孺人橫城趙氏
歲序遷易 顯考學生府君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5. 母(忌日에 맞춰) 維歲次 (년간)十月(초하루 일간)朔 十二日 (일간) 孝子
基萬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顯女比孺人橫城趙氏
歲序遷易 顯女比孺人橫城趙氏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00 윗대의 祖上을 忌日別로 祭祀모실 때: 祖母의 경우 維歲次 (년간)忌日의
月(초하루 일간)朔 忌日 (일간) 孝孫 基萬
敢昭告于 顯祖考學生府君 顯祖女比孺人仁同張氏
歲序遷易 顯祖女比孺人仁同張氏 諱日復臨 追遠感時 不勝永慕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饗
00 百日 脫喪 祝 維歲次 (년간)正月(초하루 일간)朔 三日 (일간) 孤哀子 基萬
敢昭告于 顯女比孺人橫城趙氏
歲序遷易 奄及仲祭 禮不敢過 隨其時俗 謹以淸酌 庶羞兼送 小大詳畢 常事
尙 饗
@@@ 祝文에 使用되는 用語 및
풀이 ***********************************
<<用語풀이>>
-.敢 昭告于(감소고우); 삼가 밝게 고한다는 뜻 -.氣序流易(기서유역); 해가 바뀌어서,
-.霜露旣降(상로기강);
서리와 이슬이 이미 내리었소. -.瞻掃封塋(첨소봉영); 묘소를 바라볼 때 -.不勝永慕(불승영모);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謹以 淸酌庶羞(근이 청작서수);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을, -.恭伸奠獻(공신전헌); 공손히 전을
드리니 祗薦(지천); 공경하여 올리다. -.昊天罔極(호천망극); 하늘이 뚫어지는
듯하다. -.追遠感時(추원감시); 슬픈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諱日復臨(휘일부임);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歲序遷易(세서천역); 해가 바뀌어서 -.尙 饗(상 향); 흠향하시옵소서
<< 祝文풀이 >>
維歲次 某年 某月 某日,孝子 ㅇㅇㅇ는 삼가 告하나이다. 아버님(어머님),어느덧 시간이 흘러
아버님(어머님)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오니, 하늘과 같이 크고 넓으신 은혜를 잊지 못하와 삼가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을 드리오니
歆饗(흠향)하여 주시옵소서.
參 考
文 獻
-. 성균관, 문답식 생활예절 -. 한국전통의례연구회, 가정의례백과 : 일송미디어, 1998 -.
전통예절연구회, 가례보전 : 풀잎문학, 1999 -. 조선일보사, 사진으로 보는 가정의례, 1989
註. 1. 古來로 家家禮門이라 傳해 오듯이 禮儀가 絶對的이라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日常生活을 하면서 參考로
하여주셨으면 합니다. 그러나 內容上 誤謬나, 誤字가 있으면 編輯者에게 連絡주시면 次期 發刊時 內容을 修正토록 하겠습니다.
(053)
791-1787(自) lee19858@hanmail.net
이진하 |